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RDS 오류
- Node.js
- 리덕스 어려워
- first project
- Class
- 코드스테이츠
- Date Structure
- 맥북 git 에러
- Pre코스
- 마케팅 분석
- Java Script
- Algorithm
- ERROR 2003
- css
- 고객 세분화
- code states
- nvm
- reactjs code snippets
- Data Structure
- toy problem
- SR
- worflow
- SR완료
- 초보 개발자
- JavaScript
- 자바스크립트
- 서버 배포
- 코드 스테이츠
- 데이터리안
- html
- Today
- Total
목록TIL(Today I Learned) (28)
Nathan's 개발 일지

오늘 배운 것 Pre코스부터 지금까지 배운 내용을 복습하다. 이번 수요일에 이머시브 코스 올라와서 첫 HA를 봤다. 생각한 것 보다 수월하게 풀려서 다행이였지만, 여전히 지나고 나면 잊고 사람은 망각의 동물이란 것을 깨닫게 된다. 그래서 목, 금 soloDay때 초심으로 돌아가 복습하는 시간을 가졌다. 매일 저녁에 줌방에서 공부를 한다. 항상 들어오는 붙박이 정령들이 있다. 코드스테이츠 이머시브 26기 정령들.. 그들과 함께 조그만한 계획을 시작했다. 뭐냐면, 매일 아침마다 푸는 toyProblem 문제를 서로 리뷰하며 코드 리펙토링을 하는 것이다. 아주 작은 시작이지만 코스 내내 이어지면 많은 성장을 이룰 것이라 믿는다. 오늘 느낀점 귀찮아도 블로깅을 꼭 하자.. 인간은 망각의 동물.

오늘 배운 것 Toy pronblem 1번 문제 2인 이상의 사람이 동시에 '가위, 바위, 보'를 할 때, 3판의 가위바위보를 할 경우 나올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를 구하는 문제 입출력 예시는 아래와 같다. let output = rockPaperScissors(); console.log(output); /* [ ["rock", "rock", "rock"], ["rock", "rock", "paper"], ["rock", "rock", "scissors"], ["rock", "paper", "rock"], // ...etc ... ] */ 수도코드 1. 가위바위보 게임에서는 '가위, 바위, 보' 3개 중 하나만 낼 수 있다. -> '가위, 바위, 보'를 배열에 담는다. 2. 게임의 판 수는 3판이다. ..

오늘 배운 것 Linked List, Hash Table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 중 하나인 링크드 리스트와 해시 테이블에 대해서 배웠다. 이러한 데이터 처리 방식은 일상 생활속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는점. 평소에 자주 듣는 노래나 유튜브같은 경우도 앞뒤로 움직일 수 있고 반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링크드 리스트를 사용하고 나의 마음을 아프게한 비트코인은 해시 테이블의 데이터 처리방식을 사용한다. 봐도봐도 어려운 개념이였지만, 오늘 문제를 풀면서 페어분께 그림을 하나하나 그리며 설명하니, 나 스스로도 개념이 머리속에도 정리가 되고 또 오래 기억이 남는 것 같다. 앞으로 이런 설명 방식을 잘 이용해야 겠다. 오늘 느낀점 내가 배운것을 남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할 수 있을 정도가 되야 제대로 배운것이라..

오늘 배운 것 목업의 중요성 작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와이어프레임 설계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내가 구상하고자 하는 아이디어를 먼저 설계해두고 코드로 하나씩 짜서 만드는것이 보기 좋을 뿐 만 아니라, 코드를 설계함에 있어서 좀 더 견고하게 짤 수 있는 것 같다. 지금까지 코드스테이츠에서 진행한 스피린트 중 가장 힘을 많이 썼고 시간도 많이 들였는데, 그만큼 좋은 결과가 나와서 정말 뿌듯했다. 코딩을 하면서 삽질(?)을 많이 해봐야 늘은다 했는데 정말이다. 이런 저런 실수도 많이 해보고 왜 동작을 안하는거지... 왜 이런거지... 삽질하다보니 그 과정에서 뭔가 배움이 있었다. 더 공부할 것 require css... (해도 해도 어려운 css)

오늘 배운 것 Git add, submit Error해결 깃 레포지토리에서 분명 제대로 내 컴퓨터로 'git clone'을 하였다. VS코드에서 작성이 완료된 파일들을 'git add'하려고 하니 VSCode: git fatal error: file is outside directory~~ (링크 클릭) 위와 같은 에러가 나는 것이다. 무시하고 파일에 들어가서 'git add'를 하니까 됐다. 근데 문제점이 그렇게 add를 하고나니 'git commit -m'이 되지 않는 것이였다. 에러가 뜬 상태에서 add를 해버리니 commit할때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했던 것이다. 해당 문제에 대해서 구글링 해보니 스택오버플로우에 답변이 있었다. ASKII 코드 문제였던것이다. 파일명을 한글로 적어서 파일을 읽을때 ..

오늘 배운 것 Prototype 프로토타입을 알기 전에 먼저 상속에 대한 개념을 이해해야한다. 자바스크립트에서 상속이란? 새로운 클래스에서 기존 클래스의 모든 프로퍼티와 메소드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상속을 통해서 입맛에 맞게 수정하여 재사용 가능하고, 클래스간의 관계를 형성하여 조직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자바스크립트는 C언어와같은 클래스 기반이 아니라 프로토타입 기반의 객체 지향 언어이다. 프로토타입이란? 자바스크립트의 모든 객체는 프로토타입이라는 객체를 가지고 있는데, 모든 객체들은 프로토타입으로 부터 프로퍼티와 메소드를 상속 받는다. 이러한 상속될 때 정보를 제공하는 객체를 프로토타입이라고 한다. 이렇게 프로토타입이 상속될때, 상속되는 가상의 연결고리를 프로토타입 체인이라고 한다...

오늘 배운 것 arrow function / this 복습 function 키워드를 쓰면? 어떻게 실행되는지 따라 결정된다. arrow function을 쓰면 this값은 상관하지 않는다. (arrow function을 쓸거면 this를 쓰지 말기) this는 안쓰는 추세로 가고있으나, 기억해야할 것이 있다. 객체지향 프로그램에서는 쓰기때문에.. this에서 기억해야할 3가지 obj.foo() new foo() foo.call() / foo.apply() NPM (Node Package Manager) 프로그램이 어떻게 실행되는지 적혀있는 파일인, package.json 안에 어떤 모듈이 필요한지 적혀져 있다. 그 안에 필요한 모듈은 npm을 이용해 다운받으면 된다. npm install을 하면 node..

오늘 배운 것 화살표 함수 (arrow function) 함수의 표현식을 축약한 형태로 표시하는 함수인데, 여러모로 유용하게 쓰일 것 같다. 함수 안에 표현식이 두줄 이상일때는 return 값을 생략하는 것 보단 중괄호랑 return을 써주는게 보기 좋다. 보기만 편하게 하는 함수가 아니라 this를 binding하는 과정이 생략된다는 점을 기억하자. this 키워드 this는 함수가 호출될 때 결정이 된다. 호출되는 방식에 따라 this도 바뀐다는점이다. 호출되는 방법과 무관하게 하려면 bind로 묶어버리자. 직접 호출하는 코드를 살펴보면 this가 무엇을 가르키는지 파악할 수 있다는 점.( . 온점 옆에 있는 친구를 잘 보자. ex) child.getAge() ) 쉽게 이해하려면 궁예를 떠올리면 될 ..